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12

졸이다, 조리다

조회 수 681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졸이다, 조리다

'옛날 어떤 사람이 소실을 두고 있었습니다. 소실은 입 안의 혀처럼 굴었습니다. 본부인이 보약을 달여 올 때면 약의 양이 많았다 적었다 들쭉날쭉했으나 소실이 달여오는 것은 항상 먹기 좋을 만한 양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 여자를 사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전말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실은 약이 너무 줄어들었으면 물을 타고, 너무 많으면 따라 버렸던 것입니다.'

이런 얘기가 있는 걸 보면 약을 달여서 적당한 양을 맞추기가 정말 어려운 모양입니다. 위 이야기에서처럼 약탕관에 물이 많아서 더 끓이는 것을 표현할 때 약을 '졸인다'라고 할까요, '조린다'라고 할까요? '졸이다'는 국이나 찌개·한약 따위의 물을 증발시켜 양을 줄이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면 '오가피 2백g을 물 석 되에 넣어 한 시간 정도 졸여 마신다' '염전에 바닷물을 퍼다 부어 햇볕에 졸여 만든 것이 천일염이다' 등과 같이 쓰입니다.

'조리다'는 어육이나 채소 따위를 양념해 간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바짝 끓인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돼지고기를 양념장에 조려낸 음식' '무 대신 감자나 토란을 넣고 조려도 맛이 좋다'처럼 씁니다.

열을 가하는 목적을 생각해 보면 구별하기 쉽습니다. 물이 너무 많아서 양을 줄이는 게 목적이면 '졸이다'를 쓰고, '건더기'에 맛이 배도록 하는 게 목적이면 '조리다'를 쓰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26
205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1
204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04
2048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23
2047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07
2046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85
204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2044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22
2043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34
»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14
2041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17
2040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70
2039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46
2038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9992
2037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83
2036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00
2035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1
2034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30
2033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43
2032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22
203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35
203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882
202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