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10

빌어, 빌려

조회 수 1102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어, 빌려

거의 모든 책 앞부분에는 그 책을 쓴 저자나 역자가 독자에게 드리는 글이 있다. 이 같은 글들의 맨 마지막에는 언제나 '이 자리를 빌어 ○○○에게 감사한다'는 말이 나오는데 이런 경우 '빌어'는 '빌려'로 바로잡아야 한다. 전에는 '남의 물건을 돌려주기로 하고 갖다가 쓰다'의 뜻으로 '빌다'를, '어느 기한에 도로 찾기로 하고 물건을 남에게 내어 주다'의 뜻으로는 '빌리다'를 썼다. 그러나 1988년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 두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지 않고 '빌리다'만을 표준어로 삼았다. 즉 '차용(借用)하다' '가차(假借)하다' '대출(貸出)하다' '대여(貸與)하다' 등에서 '借(빌 차)'와 '貸(빌릴 대)'에 해당하는 우리말을 '빌리다'로 통일한 것이다.

대상물에 대한 행위를 더 명확하게 하려면 '借'의 뜻으로 '빌려 오다'를, '貸'의 뜻으론 '빌려 주다'를 쓰면 된다. '남의 도움을 입을 때'나 '남의 말과 문장을 인용할 때'에도 '빌리다'를 쓴다. '그는 술의 힘을 빌려 속내를 털어놓았다' '한동안 회자됐던 표현을 빌리자면 작품이 살아야 비평이 산다'등의 경우다.

'빌다'는 소원이 이루어지도록 바라며 기도할 때('망자들의 극락왕생을 빌기에도 평생이 모자랄 거예요'), 잘못을 용서해 달라고 간곡히 청할 때('잘못했으니 용서해 달라고 선생님께 빌어라'), (남의 것을)거저 달라고 사정할 경우('너처럼 일하기 싫어하면 빌어먹기 딱 알맞다')에 쓰인다. 즉'祝'(빌 축)이나 '乞'(빌 걸)의 뜻으로는 '빌다'를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24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71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23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19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52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39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39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5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595
2041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32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127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35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87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74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9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57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36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04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09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27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49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