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8

메다, 매다

조회 수 747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다, 매다

가을 색이 뚜렷하다. 먼 산에서 시작된 단풍은 이제 우리 가까이로 다가왔다. 주말이면 유명 산이나 근교 산에는 단풍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몰린다. 울긋불긋하게 물든 단풍도 곱지만 등산객들이 어깨에 메고 있는 배낭도 각양각색으로 예쁘다. 배낭을 메고, 신발 끈을 맬 때처럼 '메다''매다'가 나오면 어떤 것을 써야 하는지 좀 헷갈린다.

'메다'는 물건을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 놓을 때, 또는 책임을 떠맡을 때 쓰인다.'가방을 메다' '어깨에 총을 메다''젊은이는 우리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처럼 사용된다. '메다'는 구멍이 막히거나 무엇이 가득 찰 때도 쓰인다.'하수도 구멍이 메었다''웅덩이가 메었다''너무 기뻐 목이 메었다''가슴이 메어 말을 잇지 못했다''행락 인파로 도로가 메어 터졌다' 등의 경우다.

'매다'는 주로 끈이 풀리지 않게 묶는 일에 사용된다. '넥타이를 매다''신발 끈을 매다''소를 말뚝에 매다''죄인을 형틀에 매다''그는 그 일에 목을 매고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매다'는 논밭의 잡풀을 뽑는다는 뜻도 있다.'김을 매다''콩밭을 매다' 등의 예다. 흔히 쓰는 '총대를 메다''목이 메다', 그리고 '끈을 매다''밭을 매다'의 예만 기억하면 대부분 옳게 사용할 수 있다. 그것도 힘들면 학교나 등산 갈 때 가방을 '메고', 신발 끈을 '맨다'는 것이라도 알아 두면 도움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30
213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86
213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81
213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13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2134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2133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40
2132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43
2131 바람의종 2009.05.06 7834
2130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63
212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34
212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46
2127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4
21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125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7
2124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0
212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18
2122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2121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28
2120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596
2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56
211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0
211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