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8

메다, 매다

조회 수 749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다, 매다

가을 색이 뚜렷하다. 먼 산에서 시작된 단풍은 이제 우리 가까이로 다가왔다. 주말이면 유명 산이나 근교 산에는 단풍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몰린다. 울긋불긋하게 물든 단풍도 곱지만 등산객들이 어깨에 메고 있는 배낭도 각양각색으로 예쁘다. 배낭을 메고, 신발 끈을 맬 때처럼 '메다''매다'가 나오면 어떤 것을 써야 하는지 좀 헷갈린다.

'메다'는 물건을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 놓을 때, 또는 책임을 떠맡을 때 쓰인다.'가방을 메다' '어깨에 총을 메다''젊은이는 우리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처럼 사용된다. '메다'는 구멍이 막히거나 무엇이 가득 찰 때도 쓰인다.'하수도 구멍이 메었다''웅덩이가 메었다''너무 기뻐 목이 메었다''가슴이 메어 말을 잇지 못했다''행락 인파로 도로가 메어 터졌다' 등의 경우다.

'매다'는 주로 끈이 풀리지 않게 묶는 일에 사용된다. '넥타이를 매다''신발 끈을 매다''소를 말뚝에 매다''죄인을 형틀에 매다''그는 그 일에 목을 매고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매다'는 논밭의 잡풀을 뽑는다는 뜻도 있다.'김을 매다''콩밭을 매다' 등의 예다. 흔히 쓰는 '총대를 메다''목이 메다', 그리고 '끈을 매다''밭을 매다'의 예만 기억하면 대부분 옳게 사용할 수 있다. 그것도 힘들면 학교나 등산 갈 때 가방을 '메고', 신발 끈을 '맨다'는 것이라도 알아 두면 도움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5
2050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9
2049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18
2048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12
204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08
2046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07
2045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500
204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99
2043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91
2042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87
204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79
2040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77
2039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75
2038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4
2037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70
203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70
2035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68
2034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7
2033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65
2032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65
2031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2030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2029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