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3 17:34

눈꼽, 눈쌀, 등살

조회 수 1001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꼽, 눈쌀, 등살


나는 이 집에 눈꼽만큼의 미련도 없다./ 모두들 그의 행동에 눈쌀을 찌푸렸다./ 내 친구는 부인의 등살에 시달려 바싹 야위었다.

위 세 예문에서 틀린 낱말이 하나씩 있다. '눈꼽, 눈쌀, 등살'이 바로 그것이다. 이 낱말들은 흔히 이렇게 쓰기 쉽지만 '눈곱, 눈살, 등쌀'로 써야 옳다. '눈곱'은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 또는 그것이 말라붙은 것, 아주 적거나 작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뜻하는데 '눈'과 '곱'이 결합해 만들어진 말이다. '곱'은 옛말에서 '기름(膏·곱 고)'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리고 현재도 '곱'은 '눈곱'의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한글 맞춤법은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혀 적도록 돼 있으므로 소리가 [눈꼽]으로 나더라도 '눈곱'으로 적어야 한다.

'눈살'도 '눈'과 '살'이 결합해 이뤄진 말이다. 따라서 소리는 [눈쌀]로 나지만 '눈살'로 적는다. 여기서 '살'은 '구김살, 주름살, 이맛살'에서 보듯 '주름이나 구김으로 생기는 금'을 말한다.

그러나 '등쌀'은 두 개의 단어가 결합된 형태가 아니라 '몹시 귀찮게 구는 짓'을 뜻하는 하나의 단어이므로 그대로 '등쌀'로 적어야 한다. '등살'이라고 쓰게 되면 '등'과 '살'이라는 단어가 결합해 '등에 있는 근육'이란 뜻이 된다.

이 경우엔 [등쌀]로 발음되지만 '눈곱, 눈살'같이 '등살'로 표기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40
1214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80
1213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65
1212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24
121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92
121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80
120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57
120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40
1207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63
1206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30
120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3
1204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69
1203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82
120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61
1201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57
1200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58
119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50
119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40
1197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50
1196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6
1195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62
1194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81
»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