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4

해거름, 고샅

조회 수 800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거름, 고샅

'계절의 변화가 놀랍습니다. 무서운 비바람이 우리를 긴장 속에 몰아넣는가 했더니 고개 숙인 벼가 넘실대는 벌판에서는 메뚜기떼가 야단입니다. 어릴 적 추억 하나가 떠오릅니다. 몽골몽골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가 평화로운 해거름, 고샅에 나와 '저녁 먹어라'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개발 바람에 삶의 모양이 바뀌다 보니 잊혀 가는 말이 많습니다. 위 글에 나온 '해거름'과 '고샅'. 우리의 옛 정서를 담뿍 담은 고유어입니다. '해거름'은 줄여 '해름'이라고도 하는데, 해가 지기 바로 전의 시간대를 뜻하는 말로 한자어로는 '석양(夕陽)' 또는 '일모(日暮)'라고 표현합니다. 해가 완전히 지고 난 후의 땅거미 질 무렵인 '황혼 (黃昏) ·박야(薄夜)·석음(夕陰)·훈일(日)'보다는 조금 이른 시간을 말합니다.

정겨운 말 '고샅'은 '고샅에서 놀다 오너라' '큰길을 벗어나 어둠이 가득 괸 고불고불한 고샅으로 들다 보면 순간 무서운 생각이 엄습하곤 했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과 관계된 말입니다. 흔히 집 밖이나 마을 밖을 '고샅'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집의 담과 담 사이 골목길을 의미합니다. '고샅'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 일부 지방에선 '고삿'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삿'은 '초가 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란 의미로 전혀 다른 말입니다.

참고로 표준어 규정을 만들기 전에는 이런 의미의 '고삿'과 좁은 길의 '고샅'을 구분하지 않고 '고샅'하나로만 표기해 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38
205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58
2049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09
2048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30
2047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11
2046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05
204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5
2044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31
2043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47
2042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38
2041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36
2040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89
2039 즐겁다, 기쁘다 바람의종 2008.10.13 7764
2038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09
2037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95
2036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6
2035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5
»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8008
2033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60
2032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49
203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66
203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18
202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