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4

해거름, 고샅

조회 수 798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거름, 고샅

'계절의 변화가 놀랍습니다. 무서운 비바람이 우리를 긴장 속에 몰아넣는가 했더니 고개 숙인 벼가 넘실대는 벌판에서는 메뚜기떼가 야단입니다. 어릴 적 추억 하나가 떠오릅니다. 몽골몽골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가 평화로운 해거름, 고샅에 나와 '저녁 먹어라'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개발 바람에 삶의 모양이 바뀌다 보니 잊혀 가는 말이 많습니다. 위 글에 나온 '해거름'과 '고샅'. 우리의 옛 정서를 담뿍 담은 고유어입니다. '해거름'은 줄여 '해름'이라고도 하는데, 해가 지기 바로 전의 시간대를 뜻하는 말로 한자어로는 '석양(夕陽)' 또는 '일모(日暮)'라고 표현합니다. 해가 완전히 지고 난 후의 땅거미 질 무렵인 '황혼 (黃昏) ·박야(薄夜)·석음(夕陰)·훈일(日)'보다는 조금 이른 시간을 말합니다.

정겨운 말 '고샅'은 '고샅에서 놀다 오너라' '큰길을 벗어나 어둠이 가득 괸 고불고불한 고샅으로 들다 보면 순간 무서운 생각이 엄습하곤 했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과 관계된 말입니다. 흔히 집 밖이나 마을 밖을 '고샅'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집의 담과 담 사이 골목길을 의미합니다. '고샅'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 일부 지방에선 '고삿'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삿'은 '초가 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란 의미로 전혀 다른 말입니다.

참고로 표준어 규정을 만들기 전에는 이런 의미의 '고삿'과 좁은 길의 '고샅'을 구분하지 않고 '고샅'하나로만 표기해 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87
1192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085
119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46
1190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18
1189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1
»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80
1187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5
1186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49
118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03
1184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44
118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32
1182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23
118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43
118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883
117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5
1178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7
1177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55
1176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11
1175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79
1174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44
1173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87
1172 동사, 형용사 바람의종 2008.09.30 6441
117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