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49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흑산도 홍어가 대풍이란다. 한때 씨가 말랐던 흑산도에서 3년 전에 저인망 어선의 조업을 금지한 이후 홍어가 늘기 시작해 해마다 점점 많이 잡힌다고 한다. 워낙 귀하다 보니 부르는 게 값인 흑산도 홍어는 칠레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붉은빛을 띠며 쫄깃쫄깃하고 담백하다. '다른 물고기는 썩이면 부패하지만 홍어는 썩여야 특유의 맛을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홍어는 '썩이면' 제 맛을 볼 수 없다. '썩혀야' 톡 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사람들이 자주 혼동해 쓰는 '썩히다' '썩이다'는 둘 다 '썩다'의 사동사지만 그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썩히다'는 '음식을 썩히다''재능을 썩히다'처럼 쓰이는 반면 '썩이다'는 '부모 속을 썩이다''골치를 썩이다'처럼 쓰인다. 그러므로 그 뜻에 따라 골라 써야 한다.

'삭다'의 사동사로 쓰이는 '삭히다''삭이다'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 '삭히다'는 '김치를 삭히다''멸치젓을 삭히다''민속주는 곡식을 삭혀서 만든다'처럼 쓰이고, '삭이다'는 '쇠도 삭이는 왕성한 식욕''분을 삭이다''기침을 삭이다'처럼 쓰인다.

이것과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자주 혼동해 쓰는 말이 있다. '박이다'와 '박히다'다. '박이다'는 '버릇이 몸에 박였다' '굳은살이 박인 손' '사진을 박였다'처럼 쓰이고, '박히다'는 '벽에 박힌 못''그의 시선은 허공에 박혀 있었다'처럼 '박다'의 피동 형태로 쓰인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잘 썩힌 홍어가 들어간 '삼합' 한 접시에 막걸리 한 사발이 생각나는 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88
1808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7
180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90
1806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178
1805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47
1804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4
1803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48
1802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57
180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556
1800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0
1799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7
1798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5979
1797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24
1796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6
1795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64
179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58
1793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792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88
1791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896
1790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32
178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4
1788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1787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1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