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82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흑산도 홍어가 대풍이란다. 한때 씨가 말랐던 흑산도에서 3년 전에 저인망 어선의 조업을 금지한 이후 홍어가 늘기 시작해 해마다 점점 많이 잡힌다고 한다. 워낙 귀하다 보니 부르는 게 값인 흑산도 홍어는 칠레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붉은빛을 띠며 쫄깃쫄깃하고 담백하다. '다른 물고기는 썩이면 부패하지만 홍어는 썩여야 특유의 맛을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홍어는 '썩이면' 제 맛을 볼 수 없다. '썩혀야' 톡 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사람들이 자주 혼동해 쓰는 '썩히다' '썩이다'는 둘 다 '썩다'의 사동사지만 그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썩히다'는 '음식을 썩히다''재능을 썩히다'처럼 쓰이는 반면 '썩이다'는 '부모 속을 썩이다''골치를 썩이다'처럼 쓰인다. 그러므로 그 뜻에 따라 골라 써야 한다.

'삭다'의 사동사로 쓰이는 '삭히다''삭이다'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 '삭히다'는 '김치를 삭히다''멸치젓을 삭히다''민속주는 곡식을 삭혀서 만든다'처럼 쓰이고, '삭이다'는 '쇠도 삭이는 왕성한 식욕''분을 삭이다''기침을 삭이다'처럼 쓰인다.

이것과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자주 혼동해 쓰는 말이 있다. '박이다'와 '박히다'다. '박이다'는 '버릇이 몸에 박였다' '굳은살이 박인 손' '사진을 박였다'처럼 쓰이고, '박히다'는 '벽에 박힌 못''그의 시선은 허공에 박혀 있었다'처럼 '박다'의 피동 형태로 쓰인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잘 썩힌 홍어가 들어간 '삼합' 한 접시에 막걸리 한 사발이 생각나는 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9
180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8
1807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610
1806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12
180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613
1804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16
1803 누비다 風磬 2006.11.01 8618
1802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20
1801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621
1800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625
1799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26
1798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30
1797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31
1796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632
1795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33
1794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636
1793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37
1792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38
1791 넋두리 風磬 2006.10.30 8640
1790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640
1789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640
178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644
1787 사리 風磬 2006.12.26 86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