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66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흑산도 홍어가 대풍이란다. 한때 씨가 말랐던 흑산도에서 3년 전에 저인망 어선의 조업을 금지한 이후 홍어가 늘기 시작해 해마다 점점 많이 잡힌다고 한다. 워낙 귀하다 보니 부르는 게 값인 흑산도 홍어는 칠레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붉은빛을 띠며 쫄깃쫄깃하고 담백하다. '다른 물고기는 썩이면 부패하지만 홍어는 썩여야 특유의 맛을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홍어는 '썩이면' 제 맛을 볼 수 없다. '썩혀야' 톡 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사람들이 자주 혼동해 쓰는 '썩히다' '썩이다'는 둘 다 '썩다'의 사동사지만 그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썩히다'는 '음식을 썩히다''재능을 썩히다'처럼 쓰이는 반면 '썩이다'는 '부모 속을 썩이다''골치를 썩이다'처럼 쓰인다. 그러므로 그 뜻에 따라 골라 써야 한다.

'삭다'의 사동사로 쓰이는 '삭히다''삭이다'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 '삭히다'는 '김치를 삭히다''멸치젓을 삭히다''민속주는 곡식을 삭혀서 만든다'처럼 쓰이고, '삭이다'는 '쇠도 삭이는 왕성한 식욕''분을 삭이다''기침을 삭이다'처럼 쓰인다.

이것과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자주 혼동해 쓰는 말이 있다. '박이다'와 '박히다'다. '박이다'는 '버릇이 몸에 박였다' '굳은살이 박인 손' '사진을 박였다'처럼 쓰이고, '박히다'는 '벽에 박힌 못''그의 시선은 허공에 박혀 있었다'처럼 '박다'의 피동 형태로 쓰인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잘 썩힌 홍어가 들어간 '삼합' 한 접시에 막걸리 한 사발이 생각나는 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9
2050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19
2049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18
2048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12
2047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08
2046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07
2045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500
204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99
2043 진보적 바람의종 2009.11.19 9491
2042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87
204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79
2040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477
2039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75
2038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4
2037 젊은이들의 유행어 바람의종 2010.03.14 9470
203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70
2035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7
2034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65
20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65
2032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61
2031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2030 복허리에 복달임 바람의종 2010.06.19 9460
2029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