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4 08:01

동포, 교포

조회 수 788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동포, 교포

정부가 재외동포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지만 중국·러시아 국적의 동포 등은 실질적 혜택을 누리기 힘들 것으로 보여 논란이 일고 있다. 흔히 '동포'와 '교포'를 같은 뜻으로 알고 있지만 의미가 다르다. '동포(同胞)'는 같은 핏줄을 이어받은 사람들로, 동일한 민족 의식을 가진 사람 모두를 가리키는 말이다. '교포(僑胞)'는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동포로, 거주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동포'보다 좁은 의미다. '동포'는 국내동포와 재외동포로 나뉘며, '재외동포'가 곧 '교포'다. 따라서 '재외교포'란 표현은 어색하고, '재외동포'나 '교포'라고 해야 한다.

교민(僑民)이라는 말도 쓴다. '재일동포' '재일교포' 모두 가능한 표현이다. 다만 미국의 경우 '재미교포', 일본의 경우 '재일동포'란 말에 익숙한 것은 역사적 사실과 거주국에서의 법적 지위 등 여러 면이 자연스레 반영된 결과다. 북한 동포를 '교포'라 하지 않는 것에는 남북이 한 나라, 한 겨레라는 뜻이 내포돼 있다. 중국·러시아 역시 '교포'보다 '동포'라는 말에 익숙한 것은 그들의 이주 역사나 처지를 반영해 우리의 핏줄임이 강조된 것이다. 같은 핏줄로서 이들에 대한 처우도 개선해야 겠지만, 중국 동포를 '조선족'이라고 부르는 것은 피해야 한다. 중국인들의 입장에서 소수 민족인 우리 동포를 부르는 이름인데 우리마저 그렇게 부를 이유가 없다. 러시아(중앙아시아) 동포인 '고려인'(카레이스키←까레이쯔)도 마찬가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5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2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28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83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30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406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85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64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8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1
2041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7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251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41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04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75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59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86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63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12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53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33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81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