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4 07:59

량, 양 (量)

조회 수 9315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량, 양

많은 사람이 '세거나 잴 수 있는 분량 또는 수량'을 나타내는 한자 '헤아릴 량(量)'의 표기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량(量)'이 홀로 쓰이거나 말의 첫머리에 올 때 두음법칙이 적용돼 '양'으로 쓰는 것은 대부분 알고 있다. '양(量)이 많다, 양껏(量-), 양산(量産), 양자(量子), 양형(量刑), 양판점(量販店)' 등이 그 예다. 그런데 어떤 말의 뒤에 붙어 쓰일 때는 어떨까? 전부 '-량'으로 적는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량(量)'은 어떤 말 뒤에 붙어 한 단어가 됐을 때 앞말이 한자어이면 '량'이되고 고유어나 외래어일 때는 '-양'이 된다. 이것은 '우리말 바루기' 60회(5월 28일자)에서 다룬 '-란(欄)'과 '-난(欄)'을 구별하는 규칙과 비슷하다.

가사량(家事量), 감소량(減少量), 거래량(去來量), 노동량(勞動量), 작업량(作業量) 등에서처럼 '量'이 한자어 다음에 붙을 때에는 별개의 단어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원래의 한자음대로 읽어 '-량'으로 적는다. 반면 '구름양(-量), 벡터양(vector量), 허파숨양(-量)' 등에서처럼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 올 경우는 한자어 형태소 '-量'이 별개의 단어로 인식되므로 두음법칙을 적용해 '-양'으로 적는다.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058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98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1Jun
    by 바람의종
    2009/06/01 by 바람의종
    Views 9427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5. No Image 31Jul
    by 바람의종
    2009/07/31 by 바람의종
    Views 9425 

    지리하다

  6.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9/12/14 by 바람의종
    Views 9421 

    너나 잘해

  7.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09/02/12 by 바람의종
    Views 9415 

    간지럽히다

  8. No Image 08Feb
    by 바람의종
    2010/02/08 by 바람의종
    Views 9410 

    어떡해,어떻게

  9. No Image 07Mar
    by 바람의종
    2010/03/07 by 바람의종
    Views 9409 

    피랍되다

  10.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10/01/22 by 바람의종
    Views 9405 

    ‘암(수)캐’가 ‘암(수)개’로

  11. No Image 22Mar
    by 바람의종
    2007/03/22 by 바람의종
    Views 9404 

    잡동사니

  12.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8/05/25 by 바람의종
    Views 9402 

    대장금②·신비

  13.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10/01/06 by 바람의종
    Views 9398 

    에누리

  14. No Image 06Mar
    by 바람의종
    2010/03/06 by 바람의종
    Views 9394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15.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9/12/14 by 바람의종
    Views 9391 

    쌈마이

  16.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9386 

    오음산과 오름

  17. No Image 30Jul
    by 바람의종
    2010/07/30 by 바람의종
    Views 9383 

    갈대와 억새

  18. No Image 20Jun
    by 바람의종
    2012/06/20 by 바람의종
    Views 9378 

    주워섬기다

  19.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08/07/21 by 바람의종
    Views 9376 

    흘리대·흘리덕이

  20.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9/04/03 by 바람의종
    Views 9373 

    펜치

  21.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10/04/30 by 바람의종
    Views 9370 

    곤욕과 곤혹

  22.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2/01/23 by 바람의종
    Views 9370 

    어머님 전 상서

  23.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09/02/12 by 바람의종
    Views 9369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24.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09/04/30 by 바람의종
    Views 9369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25.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9/09/06 by 바람의종
    Views 9359 

    하영 먹어마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