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968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땀을 뻘뻘 흘리며 산 중턱에 이르자 배가 몹시 고팠다. 배낭을 풀고 코펠을 꺼내, 가지고 온 물통의 물을 부었다. 라면을 넣고 나니 마실 물이 더 필요했다. 마침 조금만 내려가면 샘이 있는 지점이었다. 친구를 남겨놓고 물을 '길러' 산길을 내려갔다. 라면이 '불기' 전에 다녀오려고 서둘렀다.'

위의 인용문에 나오는 '길러'와 '불기'는 틀린 표현입니다. '길으러'와 '붇기'로 고쳐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샘 따위에서 물을 떠내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는 '길다'가 아니라 '긷다'입니다. 이것은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이 용언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과 결합할 때는 어간의 ㄷ이 ㄹ로 바뀝니다. '긷다'의 경우 '길어, 길으면, 길어서, 길으니'처럼 활용하는 것이지요. 위 예문에서는 문맥상 '긷+으러'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ㄷ이 ㄹ로 변해 '길으러'가 됩니다.

'물에 젖어 부피가 커지다'라는 뜻의 단어는 '불다'가 아니라 '붇다'입니다. '체중이 붇다'에서처럼 '분량·수효가 늘어나다'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붇다'도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위 예문의 경우는 '붇+기'의 형태인데 뒤에 자음이 오므로 ㄷ이 ㄹ로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붇기'로 써야 합니다. 모음이 연결되면 '불어, 불으니, 불으면'처럼 활용합니다. 활용 형태가 이와 같은 단어로는 '듣다, 싣다, 일컫다, 묻다(問), 걷다(步)' 등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19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98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318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61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6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26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81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3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30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64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7
1181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47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55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82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66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9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89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06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9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42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8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