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99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땀을 뻘뻘 흘리며 산 중턱에 이르자 배가 몹시 고팠다. 배낭을 풀고 코펠을 꺼내, 가지고 온 물통의 물을 부었다. 라면을 넣고 나니 마실 물이 더 필요했다. 마침 조금만 내려가면 샘이 있는 지점이었다. 친구를 남겨놓고 물을 '길러' 산길을 내려갔다. 라면이 '불기' 전에 다녀오려고 서둘렀다.'

위의 인용문에 나오는 '길러'와 '불기'는 틀린 표현입니다. '길으러'와 '붇기'로 고쳐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샘 따위에서 물을 떠내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는 '길다'가 아니라 '긷다'입니다. 이것은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이 용언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과 결합할 때는 어간의 ㄷ이 ㄹ로 바뀝니다. '긷다'의 경우 '길어, 길으면, 길어서, 길으니'처럼 활용하는 것이지요. 위 예문에서는 문맥상 '긷+으러'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ㄷ이 ㄹ로 변해 '길으러'가 됩니다.

'물에 젖어 부피가 커지다'라는 뜻의 단어는 '불다'가 아니라 '붇다'입니다. '체중이 붇다'에서처럼 '분량·수효가 늘어나다'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붇다'도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위 예문의 경우는 '붇+기'의 형태인데 뒤에 자음이 오므로 ㄷ이 ㄹ로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붇기'로 써야 합니다. 모음이 연결되면 '불어, 불으니, 불으면'처럼 활용합니다. 활용 형태가 이와 같은 단어로는 '듣다, 싣다, 일컫다, 묻다(問), 걷다(步)' 등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0
1192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109
119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84
1190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67
1189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117
1188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8132
1187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72
1186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79
118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184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86
118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60
1182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58
118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79
118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42
117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6
1178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37
»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95
1176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121
1175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915
1174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70
1173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938
1172 동사, 형용사 바람의종 2008.09.30 6510
117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