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98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땀을 뻘뻘 흘리며 산 중턱에 이르자 배가 몹시 고팠다. 배낭을 풀고 코펠을 꺼내, 가지고 온 물통의 물을 부었다. 라면을 넣고 나니 마실 물이 더 필요했다. 마침 조금만 내려가면 샘이 있는 지점이었다. 친구를 남겨놓고 물을 '길러' 산길을 내려갔다. 라면이 '불기' 전에 다녀오려고 서둘렀다.'

위의 인용문에 나오는 '길러'와 '불기'는 틀린 표현입니다. '길으러'와 '붇기'로 고쳐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샘 따위에서 물을 떠내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는 '길다'가 아니라 '긷다'입니다. 이것은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이 용언은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말과 결합할 때는 어간의 ㄷ이 ㄹ로 바뀝니다. '긷다'의 경우 '길어, 길으면, 길어서, 길으니'처럼 활용하는 것이지요. 위 예문에서는 문맥상 '긷+으러'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ㄷ이 ㄹ로 변해 '길으러'가 됩니다.

'물에 젖어 부피가 커지다'라는 뜻의 단어는 '불다'가 아니라 '붇다'입니다. '체중이 붇다'에서처럼 '분량·수효가 늘어나다'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붇다'도 ㄷ 불규칙 용언입니다. 위 예문의 경우는 '붇+기'의 형태인데 뒤에 자음이 오므로 ㄷ이 ㄹ로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붇기'로 써야 합니다. 모음이 연결되면 '불어, 불으니, 불으면'처럼 활용합니다. 활용 형태가 이와 같은 단어로는 '듣다, 싣다, 일컫다, 묻다(問), 걷다(步)' 등이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39
3040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2191
3039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2198
3038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205
303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2219
3036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220
3035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2221
3034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23
3033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224
3032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254
3031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270
3030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297
3029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2305
302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320
3027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24
3026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325
3025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2334
302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335
3023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340
302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2362
3021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364
3020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70
3019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3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