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9 22:06

않는, 않은

조회 수 1554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않는, 않은

'가을비가 잦다. 들녘에 필요한 것은 강한 햇볕과 산들거리는 바람일 텐데 생명의 근원이라는 '하늘 물'이 흔하다 보니 반갑지 않는 손님이 돼버렸다.'

위 글에 쓰인 '반갑지 않는 손님'. 자칫 지나치기 쉽지만 잘못된 표현이다. 이때는 '반갑지 않은 손님'으로 써야 한다. 앞 말을 부정하는 의미가 있는 '않는'과 '않은'은 철자 자체로는 틀린 게 아니다. 그러나 문맥에 따라 구별해야 한다.

①'눈도 깜짝거리지 않은 사관생도' '눈도 깜짝거리지 않는 사관생도'
②'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녀'

①의 두 글은 '않은' 과 '않는'의 차이만 빼면 다른 점이 없다. 하지만 '않는(은)' 앞에 있는 말 '깜짝거리지'의 원말 '깜짝거리다'가 '쉬다' '놀다' 따위와 마찬가지로 동사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밥을 먹은(먹는)'에서 볼 수 있듯 동사 어간에 '-은'이 붙으면 과거, '-는'이 붙으면 현재를 나타낸다. '깜짝거리지' 다음에 온 보조동사 '않다'를 활용한 '않은'역시 이런 원칙이 적용된다. 사관생도의 현 모습이 흐트러짐 없다는 뜻이라면 '않는', 과거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라면 '않은'을 쓰면 된다.
②의 경우는 좀더 쉽다. '아프지'의 본말 '아프다'가 형용사이며, 그 뒤의 '않다'는 보조형용사로 쓰였다. '(높지·향기롭지·맑지·깊지)+않은'의 형태에서처럼 형용사 뒤에는 '않은'을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19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972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225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89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59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38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84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91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26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26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081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451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62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83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93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06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64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93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1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640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645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401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