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6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어렵게 출제될 것이라는 예상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밤을 새면서 공부하는 자식들이 안타까워 '밤을 새지 마라. 몸 상할라'라는 말밖에 하지 못하는 부모들을 보면서 우리의 교육 현실을 다시 생각해 본다.

위 문장에서 쓰인 '새면서' '새지'는 맞지 않다. 이들의 기본형인 '새다'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밤을 새우다'로 하는 게 옳다. '밤을 새우다'는 왜 흔히 '밤을 새다'로 잘못 쓰는 것일까. 아마 '새다'를 '새우다'의 준말로 생각하기 때문일 듯싶다. 그러나 '새다'는 '날이 밝아 오다'란 뜻(그날 밤이 새도록 그는 자기의 과거를 다 이야기했습니다)인 반면 '새우다'는 주로 밤을 목적어로 하여 '한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란 뜻(그 이야기를 들은 날 밤을 뜬눈으로 새우다시피 했다)이다. 이처럼 뜻이 완전히 다른 말이므로 '새다'가 '새우다'의 준말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밤이 새다'와 '밤을 새우다'는 구별해 써야 한다.

앞에 '지-'가 붙는 '지새다' '지새우다'도 같은 경우다. '지새다'는 '달빛이 사라지면서 밤이 새다'는 뜻(그는 밤이 지새도록 술잔만 기울였다)이며, '지새우다'는 밤 따위와 함께 쓰여 '고스란히 새운다'는 뜻(아내는 긴 밤을 하얗게 지새우며 남편 오기만을 기다렸다)이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80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30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296
    read more
  4. 발르세요?

    Date2008.03.14 By바람의종 Views7322
    Read More
  5. 발목이 접(겹)질려

    Date2009.06.17 By바람의종 Views9863
    Read More
  6. 발바리

    Date2010.02.23 By바람의종 Views8013
    Read More
  7. 발발아

    Date2009.10.06 By바람의종 Views6263
    Read More
  8. 발음상의 특징

    Date2010.01.15 By바람의종 Views8109
    Read More
  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Date2022.02.24 By風文 Views1172
    Read More
  10. 발자국

    Date2008.11.11 By바람의종 Views4521
    Read More
  11. 발자욱, 발자국

    Date2009.08.04 By바람의종 Views12108
    Read More
  12. 발칙과 점잔

    Date2008.06.21 By바람의종 Views7229
    Read More
  13. 밤새 / 밤새워

    Date2012.09.24 By바람의종 Views10752
    Read More
  14.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Date2008.09.27 By바람의종 Views12566
    Read More
  15. 밥힘, 밥심

    Date2010.03.02 By바람의종 Views12843
    Read More
  16.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Date2010.08.06 By바람의종 Views9698
    Read More
  17. 방금

    Date2011.10.27 By바람의종 Views8770
    Read More
  18. 방마치

    Date2008.11.21 By바람의종 Views6683
    Read More
  19. 방방곡곡 / 명량

    Date2020.06.04 By風文 Views1470
    Read More
  20. 방법론?

    Date2008.03.11 By윤영환 Views7167
    Read More
  21. 방불하다

    Date2009.07.31 By바람의종 Views10169
    Read More
  22. 방송 용어

    Date2010.03.05 By바람의종 Views8411
    Read More
  23. 방언 분투기 / 국민 정서

    Date2020.07.12 By風文 Views1924
    Read More
  24. 방언은 모국어다

    Date2007.10.16 By바람의종 Views8785
    Read More
  25. 방언의 힘

    Date2021.11.02 By風文 Views138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