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7 20:17

작니?, 작으니?

조회 수 663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작니?, 작으니?

지난번에 '먹냐?' '있냐?' '없냐?' '계시냐?'는 각각 '먹느냐?' '있느냐?' '없느냐' '계시느냐?'가 바르다고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동사와 '있다' '없다' '계시다'다음에는 '-냐'가 아니라 '-느냐'가 쓰이기 때문입니다. <8월 27일자 122회 참조> 그런데 문제는 친구끼리 직접 대화할 때 '지금 어디 있냐?'를 바르게 고쳐서 '지금 어디 있느냐?'로 쓰면 아무래도 어색하게 들린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른 말로 바꿔 쓰면 되지요. 의문을 나타내는 '-니/-으니'도 대안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느냐'와 달리 친밀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줍니다. '-니'와 '-으니'는 그 앞에 오는 말에 따라 어떤 것을 쓸지가 결정됩니다. 우선 동사 어간 다음에는 '-니'가 쓰입니다. '너 지금 어디 가니?' '추석에는 뭘 먹니?' '고구마 굽니?' 등이 그 예입니다.

형용사 어간에 연결될 때는 받침 유무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받침이 없을 때는 '-니'가 옵니다. 예를 들면 '그 약 맛이 쓰니?' '많이 아프니?'와 같은 경우입니다. 받침이 있을 때(ㄹ 받침 제외)는 '-니'와 '-으니' 두 가지 형태가 다 가능합니다. 즉 '친구가 그립니/그리우니?' '어느 옷이 더 좋니/좋으니?' '그 운동화 작니/작으니?'는 모두 맞습니다.

ㄹ받침일 때는 'ㄹ'이 탈락하고 '-니'가 붙습니다. '이 수박 달으니?'가 아니라 '이 수박 다니?'가 되는 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94
2028 칠거지선(七去之善) 바람의종 2010.03.05 9456
2027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51
2026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48
2025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8
2024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446
2023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45
2022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44
2021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36
2020 너나 잘해 바람의종 2009.12.14 9436
2019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34
2018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424
2017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23
2016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2015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415
201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415
2013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14
2012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412
2011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406
2010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5
2009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404
2008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200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