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5 01:21

옷매무새, 옷매무시

조회 수 928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옷매무새, 옷매무시

보름달이 환한 추석, 생각만 해도 가슴이 절로 부풀어 오릅니다. 가을의 결실에 대한 감사함과 여유로움에 함빡 웃음꽃이 피어나고, 고향으로 고향으로 차량 행렬은 이어집니다. 때깔 좋은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엄마가 딸에게 한마디 당부합니다. '형주야, 시골에 도착해 할아버지께 문안 인사 드릴 때 옷매무새 바르게 하고 해야 한다.'

엄마의 말씀에 나오는 '옷매무새'. 차림과 관련된 말인 것 같은데 용어 선택이 잘못됐군요. '옷매무시'와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옷매무새'는 옷을 입고 난 뒤의 완성된 맵시를 뜻하는 말입니다. '옷매무새가 단정하다' '비단옷 매무새가 물 흐르듯 아름답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옷매무새'는 옷 입은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로서 형용사(단정하다·아름답다·곱다)와 더 잘 어울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옷매무시'는 좋은 모양새(매무새)를 내기 위해 '옷을 입고 나서 매만지는 뒷단속'을 뜻하는 말입니다. 한복을 입은 뒤에 치마가 잘 여며졌는지, 대님은 제대로 맸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매무시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옷매무시'는 행위를 나타내는 명사로 자연스레 '-하다'가 붙어 쓰입니다. '면접을 치르러 온 사람들은 회사 현관 앞에서 양복을 매무시하였다' '옷매무시를 잘 하는 걸 보니 엄마의 가정교육이 보통이 아니다'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54
2006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1
2005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8
200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48
2003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41
2002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39
2001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35
2000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34
199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33
1998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30
1997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28
1996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24
1995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24
199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24
1993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18
1992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17
1991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17
1990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15
1989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13
1988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13
1987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3
1986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11
198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