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4 15:09

딛었다, 디뎠다

조회 수 890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딛었다, 디뎠다

우리 속담에 '시작이 반이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다. 이는 예부터 무슨 일을 함에 있어 시작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준다. '무엇을 시작했다'라는 의미로 '첫발을 딛었다'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여기에 옥에 티가 있다. '딛었다'를 '디뎠다'로 해야 맞다. '디디다'에는 모음 어미가 연결돼 '디뎠다(디디+었+다)'가 될 수 있지만, 이것의 준말인 '딛다'에는 모음 어미가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딛었다'는 바르지 않다. 이는 '가지다'의 준말 '갖다'에 모음 어미 '-아(어)'가 연결된 '갖아(어)'가 바른 말이 아니고 '가져(가지+어)'로 써야 하는 것과 같다. 예문을 보자.

#
그녀는 슬며시 발판에 발을 디뎠다[딛었다(×)].
우리는 환경 문제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다[갖었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말로는 '머무르다/머물다, 서두르다/서둘다, 서투르다/서툴다' 등이 있다.

#
남편은 오랫동안 한직에 머물러[머물어(×)] 있었다.
떠날 차비를 서둘러라[서둘어라(×)].
그는 애정 표현에 서툴렀다[서툴었다(×)].

그러나 모음 어미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준말의 활용이 가능하다. '딛다(딛고, 딛는 등)''갖다(갖고, 갖는 등)''머물다(머물고, 머물자, 머물며, 머무니 등)''서둘다(서둘고, 서두니, 서두는 등)''서툴다(서툴고, 서투니, 서툰 등)'가 그러한 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49
1610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57
1609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60
1608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61
1607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3
1606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64
160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67
1604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68
1603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73
1602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73
1601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73
1600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74
1599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75
1598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75
1597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76
1596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85
1595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86
1594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86
1593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6
1592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86
1591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87
1590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7
1589 바람의종 2012.09.12 8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