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1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우리의 통일은…남쪽의 피눈물과 북쪽의 피눈물이 만나 굽이쳐 모든 군사장치와 허섭스레기를 쓸어내는 것입니다.'

『백기완의 통일이야기』에 나오는 대목이다. 인용어의 '허섭스레기'. 약간 생소한 단어다. 문맥으로 보아 '쓸모없는, 거추장스러운 그 무엇'을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 일부에선 '허접쓰레기를 잘못 쓴 것이겠지'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좋은 것이 빠지고 난 뒤에 남은 허름한 물건'이란 뜻의 순우리말이다. 아래에 쓰인 용례를 보면 그 의미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딸이면 몰라도 며느리에게는 시어머니가 쓰던 구닥다리 물건들이 허섭스레기로 보일 수도 있다.' '허섭스레기에 불과한 저를 용서해 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한편 '허름하고 잡스러운 느낌이 들다'란 뜻으로 '허섭스럽다'를 쓰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이때는 '허접스럽다'가 맞는 말이다. '허섭스레기'와 내용상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철자가 다르다. '허접쓰레기'는 '허섭스레기'를 잘못 발음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인터넷 상에서 상대의 행동을 비난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허접 플레이' 또는 '허접 짓 하지 마라'등의 표현 역시 적당한 것이 아니다. '허접(許接)'은 명사로 '도망친 죄수나 노비 등을 숨겨 묵게 하던 일'을 뜻하는 것으로 그의미가 다르다.

참고로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는 '허섭스레기'와 같은 의미로 '허접쓰레기'가 올라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2
1918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917 오랑캐 風磬 2007.01.19 9188
191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85
191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69
1914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69
191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912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9
1911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10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8
190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56
1908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56
190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4
1906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7
190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46
1904 바람의종 2007.09.22 9145
1903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902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38
1901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36
1900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5
1899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35
189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189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