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18 17:09

비치다, 비추다

조회 수 113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비치다, 비추다

'달빛이 비치는 밤인데도 그믐에 가까워 골목길이 깜깜해서 손전등으로 거리를 비추며 문 밖으로 나섰다.' 이 문장에서처럼 대부분 '비치다'는 목적어를 갖지 않고, '비추다'는 목적어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속이 비치는 분홍빛 여자 속옷'에서는 목적격 조사(-을/를)가 나오지 않으므로 '비치다'를 쓰고, '가로등이 거리를 비추었다'에서는 목적격 조사가 나오므로 '비추다'를 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이 원칙이 어긋날 때, 대부분의 사람이 표기에 혼동을 일으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본다. '비치다'가 목적격 조사를 동반하는 경우다. 주로 '…에/에게 …을' 형태로 쓰여 '얼굴이나 눈치 따위를 잠시 또는 약간 나타내다'라는 뜻(너무 바빠 집에 얼굴을 비칠 시간도 없다)과 '의향을 떠보려고 슬쩍 말을 꺼내거나 의사를 넌지시 깨우쳐 주다'라는 뜻(이번 선거에 출마할 의향을 어느 정도 측근들에게 비쳤다)을 나타낸다. 이때는 목적격 조사가 있지만 '비추다'를 쓰지 않고 '비치다'를 쓴다.

반대로 '비추다'가 목적격 조사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다. 주로 '…에 비추어' 꼴로 쓰여 '어떤 것과 관련해 견주어 보다'의 의미(내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 사업은 성공하기가 어렵다)를 나타낸다. 이때는 목적격 조사가 없지만 '비치다'를 쓰지 않고 '비추다'를 쓴다. 이렇듯 우리말은 그 의미를 잘 생각해야 바르게 표기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26
2006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95
2005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94
2004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93
200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92
200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2001 -씩 바람의종 2010.01.23 9388
2000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199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76
1998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73
1997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68
1996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8
1995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99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62
199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8
1992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6
1991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1990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53
1989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51
1988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51
1987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47
1986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47
1985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