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18 16:53

봉숭아, 복숭아

조회 수 852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봉숭아, 복숭아

'봉숭아'와 '복숭아'는 철자는 비슷하지만 꽃과 과일이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재미있는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봉숭아. 다른 꽃에 비해 화려하고 탐스럽지는 않지만 볼수록 마음이 끌리고, 밤이면 어머니를 졸라 꽃잎을 으깨 이파리로 손톱을 싸매고 다음 날 들여질 꽃물을 생각하며 잠들곤 했던 추억이 있다. 흔하고 친숙하다 보니 꽃 이름도 다양하다. 봉성화·봉선화·봉숭화·봉숭아·지갑화·봉송아·금봉화…. 1988년 새 표준어 규정엔 '봉숭아'와 함께 '봉선화(鳳仙花)'가 복수 표준어로 올라 있다. 꽃 모양이 봉황을 닮았고, '봉선'이란 가공 인물이 등장하는 설화도 많다.

복숭아. 익히 아는 것처럼 신맛과 단맛이 절묘한 여름 과일이다. 한자로는 도(桃)로 표현한다. 색깔(연분홍·桃色)과 열매의 생김새 덕에 '남녀의 연정'과 관계된 말에 많이 사용된다. 도색영화·도색잡지 등이 있는가 하면, 혼기에 이른 수줍은 처녀 시절을 일컫는 도요(桃夭)라는 말도 있다.

꽃말을 비교하면 더 재미있다. 봉선화는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다. 무더운 여름 청초한 자태를 보이며 함초롬히 피어 있는 봉선화에는 '울 밑에선 봉선화야~'로 시작되는 노래에서 보듯 일제 강점기의 저항정신이 담겨 있다. 복숭아의 꽃말은 '사랑의 노예ㆍ희망' 등이다. 복숭아와 관련해 알아둘 게 있다. 사람의 발목 부근에 둥글게 나온 뼈를 그 생김새 때문에 흔히 '복숭아뼈'로 표현하는데 '복사뼈'가 표준어란 사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28
1632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35
1631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37
1630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37
1629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37
1628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938
1627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940
1626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40
1625 불호령 風磬 2006.12.23 8942
162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2
1623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45
1622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1621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55
1620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56
1619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57
161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65
1617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6
1616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71
1615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72
1614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74
1613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75
1612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979
1611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