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18 16:53

주인공과 장본인

조회 수 753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인공과 장본인

독자들에게서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주인공'과 '장본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주인공을 '영화·연극·소설 등에서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 또는 어떤 일에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 장본인은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으로 정의해 놓아 다분히 모호한 구석이 있다. 그 외 다수 사전은 장본인에 대해 '나쁜 일을 빚어낸 바로 그 사람'이라고 풀이해 놓았는데, 많은 사람은 대체로 다수 사전의 용례를 따르고 있다. 다음 문장들을 살펴보자.

'사후에 2억원대에 이르는 익명의 장학금을 기탁한 장본인으로 알려진 고 이춘달(전 르완다 명예대사)씨의 추모집을 동문들이 발간, 화제가 되고 있다.'
'민주노총 홈페이지에 수차례에 걸쳐 욕설을 올린 주인공은 朴모씨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두 문장에 쓰인 '장본인'과 '주인공'은 위치가 바뀐 감이 있다. '익명의 장학금을 기탁한 주인공으로 알려진…' '욕설을 올린 장본인은…'으로 바꿔 보면 느낌이 확연히 다르다. 이와 같이 주인공은 좋은 일에 대해, 장본인은 나쁜 일을 일으킨 주동자나 주로 부정적인 일의 중심 인물을 가리킬 때 쓰는 것이 합당하다. 누구든지 살아가면서 모든 일에 주인공이 되려고 하지 장본인이 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3
2006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800
2005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18
2004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80
2003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9
2002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91
2001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57
2000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39
1999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35
1998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57
1997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81
1996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18
»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33
1994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14
1993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318
1992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34
1991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90
1990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23
1989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55
1988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987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00
198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1
1985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7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