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25

들이키다, 들이켜다

조회 수 1033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들이키다, 들이켜다

'들이키다'와 '들이켜다'는 어떻게 다를까. 더구나 '과거형'으로 쓰인다면 '들이켰다'로 두 단어의 형태가 똑같다. 많은 사람이 헷갈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는 양말을 벗어 툭툭 털더니 마루에 놓인 냉수 한 사발을 쭈욱 들이키고 나서 목에 감았던 수건으로 땀을 닦았다.' 이처럼 '물 따위를 꿀꺽꿀꺽 마신다'는 뜻으로 '들이키다'를 많이 쓰는데, '들이켜다'가 맞는 말이다. '막걸리를 벌컥벌컥 들이켰다'에서의 '들이켰다'는 '들이켜다'에 행위가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인 '-었-'이 붙은 형태다.

'소나기가 들이치자 어머니께서는 베란다에 놓인, 꽃이 피어 있는 난(蘭) 화분을 안쪽으로 들이켰다'의 경우는 어떤가. 화분을 마실 수는 없다. 이때의 '들이켰다'는 무엇을 안쪽으로 가까이 옮길 때 쓰는 '들이키다'에 '-었-'이 붙은 것이다.

'아가씨, 지나갈 수 있게 발 좀 안으로 들이키시면 고맙겠습니다'
'냉수를 갑자기 그렇게 들이켜다 사레 들리면 어쩌려고 그래'처럼 쓰면 된다.

'헛물켜다'라는 단어를 안다면 '들이키다'와 '들이켜다'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소금 먹은 놈이 물 켠다'고, 굿모닝시티 측에서 주는 금품을 검은돈인 줄도 모르고 '들이켰다가'(받아먹었다가) 여러 사람이 남몰래 되돌려주는 행태를 우리는 지금 보고 있다. 뜻하지 않은 이익이 있을 때는 그만큼 큰 위험이 있다는 것을 왜 생각하지 못할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20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707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305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646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9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602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10074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40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70
19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118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129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6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49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6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98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78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6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133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6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94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85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17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