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7 04:23

반딧불이

조회 수 569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딧불이

'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말이 있다. 이 성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고난을 견디며 공부에 매진하거나 각고의 노력을 하다'라는 의미를 지녔다. 중국 진(晋)나라 때 차윤(車胤)은 집이 가난해 불 밝힐 돈이 없어서 여름이면 개똥벌레[螢]를 잡아 모아 그 불빛으로 공부한 끝에 성공했다. 손강(孫康) 역시 가난하여 겨울밤이면 눈[雪]빛을 등불 삼아 공부해 어사대부라는 고위직에 올랐다. 이 두 사람의 행적에서 '형설지공'이라는 말이 생겼다. 정말 개똥벌레를 모아 책을 읽을 수 있을까? 80마리쯤이면 천자문 책을 읽을 수 있고, 2백마리쯤 모으면 신문을 읽을 수 있을 정도의 밝기가 된다고 한다.

개똥벌레는 '반디', '반딧불이'라고도 한다. 반딧불이가 꽁무니에서 내는 빛이 '반딧불'이다. 지금까지는 이 둘을 확연히 구분했으나 최근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반딧불'도 '반딧불이'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고 설명해 놓았다. 반딧불이는 청정지역에 사는 환경지표종이다. 예전에는 여름밤이면 불빛을 깜박이며 날아가는 반딧불이를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시골에서도 구경하기가 어려워졌다.

반딧불이는 불빛으로 암수끼리 대화를 하는데 도시화로 밤이 대낮처럼 밝아져 소통이 점점 어려워지고, 농약과 환경오염 등으로 애벌레의 먹이가 없어짐에 따라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곁에서 밀려난 그 조그만 등불들을 가까운 곳에서 더 많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68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25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75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08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29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27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96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11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22
19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35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0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22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48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64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52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1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4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18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4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1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10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3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