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7 04:23

반딧불이

조회 수 568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딧불이

'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말이 있다. 이 성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고난을 견디며 공부에 매진하거나 각고의 노력을 하다'라는 의미를 지녔다. 중국 진(晋)나라 때 차윤(車胤)은 집이 가난해 불 밝힐 돈이 없어서 여름이면 개똥벌레[螢]를 잡아 모아 그 불빛으로 공부한 끝에 성공했다. 손강(孫康) 역시 가난하여 겨울밤이면 눈[雪]빛을 등불 삼아 공부해 어사대부라는 고위직에 올랐다. 이 두 사람의 행적에서 '형설지공'이라는 말이 생겼다. 정말 개똥벌레를 모아 책을 읽을 수 있을까? 80마리쯤이면 천자문 책을 읽을 수 있고, 2백마리쯤 모으면 신문을 읽을 수 있을 정도의 밝기가 된다고 한다.

개똥벌레는 '반디', '반딧불이'라고도 한다. 반딧불이가 꽁무니에서 내는 빛이 '반딧불'이다. 지금까지는 이 둘을 확연히 구분했으나 최근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반딧불'도 '반딧불이'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고 설명해 놓았다. 반딧불이는 청정지역에 사는 환경지표종이다. 예전에는 여름밤이면 불빛을 깜박이며 날아가는 반딧불이를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시골에서도 구경하기가 어려워졌다.

반딧불이는 불빛으로 암수끼리 대화를 하는데 도시화로 밤이 대낮처럼 밝아져 소통이 점점 어려워지고, 농약과 환경오염 등으로 애벌레의 먹이가 없어짐에 따라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곁에서 밀려난 그 조그만 등불들을 가까운 곳에서 더 많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38
2952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30
2951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531
2950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2
2949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59
2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80
2947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28
2946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2945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46
2944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53
2943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54
2942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56
2941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72
294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73
2939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82
2938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8
2936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702
2935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07
2934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19
2933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23
2932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33
2931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7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