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6 03:48

옥새와 옥쇄

조회 수 855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옥새와 옥쇄

지난번 노무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대통령의 동정을 소개한 글 중에 이런 것이 있었습니다. '청나라 때 옥쇄를 제작하던 집안의 후손으로 중국의 유명 서예가이자 인장 제작자인 좡웨이밍이 盧대통령에게 인장을 선물했다.'

위 글에서 말하는 옥쇄란 무엇일까요? 이 단어는 글의 내용으로 볼 때 옥새(玉璽)를 써야 할 자리에 잘못 사용한 것입니다. 옥새는 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하던 임금의 도장을 말합니다. 나라를 대표하는 도장이지요. 국새(國璽)·곤보(袞寶)·국보(國寶)·대보(大寶)·보(寶)·부새(符璽)·새(璽)·신새(神璽)·어보(御寶)·영새(靈璽)·옥보(玉寶)·인새(印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옥쇄(玉碎)는 옥처럼 아름답게 부서진다는 뜻으로 명예나 충절을 위하여 깨끗이 죽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반대되는 단어로 와전(瓦全)이 있습니다. 옥이 못 되고 기와로 안전하게 남는다는 뜻으로, 아무 보람도 없이 목숨을 이어감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그러면 지금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새가 있을까요? 물론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것은 1999년 2월 새로 만든 것인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세 번째 국새입니다. 가로·세로가 10.1㎝이고 '대한민국' 넉자가 한글로 새겨져 있답니다. 국새는 헌법 개정 공포문 전문, 훈장증과 포장증, 대통령 명의의 비준서 등에 찍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26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27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75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15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33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38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01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18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31
19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50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0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30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59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71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64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1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4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26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7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1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16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5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