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34

총각김치

조회 수 8600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총각김치

'총각김치'에 왜 하필이면 '총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처녀김치'는 왜 없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 손가락 굵기만 한 어린 무를 잎과 줄기째 양념에 버무려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다. 이때의 어린 무를 '총각(總角)무' 또는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데, 1988년에 개정된 표준어 규정은 '알무' '알타리무'가 생명력을 잃었다고 해서 '총각무'로 쓰도록 했다.

옛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것을 '총각(總角)'이라 했으며, 이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 불렀다고 한다. 총(總)은 '모두'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과거엔 '꿰맬 총' '상투 짤 총'으로도 사용됐다. 각(角)은 물론 뿔을 뜻한다. 한 줌 크기로 모아 잡아맨 미역을 '꼭지미역' 또는 '총각미역'이라 하는 걸 보면 '총각'이 동여맨 것을 지칭하는 건 분명하다. 따라서 어린 무가 '총각'이라는 머리 모양을 닮아 '총각무'가 됐고, 그것으로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라는 설명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어린 무의 모양이 남성의 그것을 닮았다는 점에서 위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옛 여인들이 '총각김치'를 담그면서 그런 잡담을 했으리라는 추측이다. 또 여자들이 김치를 담그기 때문에 '총각김치'만 있고 '처녀김치'가 없다는 것이다. 생각은 자유지만 '알타리무'는 '총각무'가 맞다는 것은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63
2006 이녁 바람의종 2007.03.15 14066
2005 자그마치 바람의종 2007.03.16 11562
2004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664
2003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65
2002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75
2001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154
2000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97
1999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698
1998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723
1997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68
1996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202
1995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601
1994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16
1993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06
1992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228
1991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766
1990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86
198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43
1988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239
1987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818
1986 바람의종 2007.03.31 8493
1985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6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