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34

총각김치

조회 수 8588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총각김치

'총각김치'에 왜 하필이면 '총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처녀김치'는 왜 없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 손가락 굵기만 한 어린 무를 잎과 줄기째 양념에 버무려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다. 이때의 어린 무를 '총각(總角)무' 또는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데, 1988년에 개정된 표준어 규정은 '알무' '알타리무'가 생명력을 잃었다고 해서 '총각무'로 쓰도록 했다.

옛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것을 '총각(總角)'이라 했으며, 이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 불렀다고 한다. 총(總)은 '모두'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과거엔 '꿰맬 총' '상투 짤 총'으로도 사용됐다. 각(角)은 물론 뿔을 뜻한다. 한 줌 크기로 모아 잡아맨 미역을 '꼭지미역' 또는 '총각미역'이라 하는 걸 보면 '총각'이 동여맨 것을 지칭하는 건 분명하다. 따라서 어린 무가 '총각'이라는 머리 모양을 닮아 '총각무'가 됐고, 그것으로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라는 설명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어린 무의 모양이 남성의 그것을 닮았다는 점에서 위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옛 여인들이 '총각김치'를 담그면서 그런 잡담을 했으리라는 추측이다. 또 여자들이 김치를 담그기 때문에 '총각김치'만 있고 '처녀김치'가 없다는 것이다. 생각은 자유지만 '알타리무'는 '총각무'가 맞다는 것은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49
3084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650
3083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655
3082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658
3081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665
3080 -분, 카울 風文 2020.05.14 1669
3079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676
3078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680
3077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82
3076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682
307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689
3074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693
3073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695
3072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695
3071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06
3070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19
3069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720
3068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733
306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42
3066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743
3065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745
306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749
3063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