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30

반지락, 아나고

조회 수 818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반지락, 아나고

굳이 휴가철이라서가 아니라 공해에 찌든 도시생활에 지친 이들에게 여행은 언제나 동경의 대상이다. 시인 곽재구의 산문집을 읽다 보면 어느새 내가 이름 모를 바닷가를 걷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곤 한다. 선유도·지세포·구만리·상족포구·어란포구 등 생소한 이름만큼이나 갯내음이 물씬 묻어나는 듯하다.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살갑게 다가오기도 하고 반지락·아나고 등의 낯익은 단어들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책에 나오는 반지락·아나고는 표준어일까. 반지락은 '개발'이라고도 하는데 바지락이 표준어다. 바지락은 백합과의 조개로 맛이 좋아 인기가 있으며 양식을 하기도 한다. 한국·일본·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파·무 등과 함께 시원한 국을 끓여도 좋고, 된장찌개에 넣어도 맛이 그만이다.

아나고는 일본말이며 우리말로는 붕장어·바닷장어라고 한다. 이 물고기는 몸의 길이가 90cm 이상이고 몸이 넓적하다. 뱀장어와 비슷하나 입이 크고 이빨이 날카롭다.

이 외에도 남쪽 지방 사람들이 흔히 얘기하는 간제미는 노랑가오리를 이르는 말로 전남지방의 방언이다. 노랑가오리는 색가오릿과의 바닷물고기로, 몸 길이는 1m 정도이고 위 아래로 매우 납작하며 오각형이다. 문학작품 등에선 때에 따라 방언을 써야 제맛이 나기도 하지만, 표준어와 방언 둘 다 아는 것과 방언만 알고 있는 차이는 크다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36
1456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72
1455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23
1454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27
1453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65
1452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750
»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82
1450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69
1449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9
1448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32
1447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6
1446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2
1445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8
1444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94
1443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05
1442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26
1441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07
1440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39
1439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50
1438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29
1437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28
1436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37
1435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