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14

통째/통채

조회 수 1190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째/통채


많은 사람이 '통째로'를 '통채로'로 잘못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는 발음상으로도 비슷하고, '-째'와 '-채'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인 듯싶다. '통째로'는 '통째+로'의 형태다. '통째'는 나누지 않은 덩어리의 전부를 뜻하는데, 주로 '통째로' 꼴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통짜'가 있다. 그러므로 표기가 혼란스러울 때는 '통짜'를 생각하면 'ㅊ'이 아니라 'ㅉ'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뱀이 개구리를 통째로 삼켰다. /초기 수레바퀴는 살 없이 통짜로 돼 있었다).

'통째'에서 '째'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뿌리째/껍질째)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또한 수량·기간을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와 수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사흘째/두 잔째/셋째)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인다. 반면 '채'는 의존명사로 '-은/는 채로' 형태로 쓰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라는 뜻(옷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을 나타내거나 집, 큰 기구, 기물, 가구, 이불, 가공하지 않은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오막살이 한 채/가마 두 채/장롱 한 채/솜이불 한 채/인삼 한 채)등으로 쓰인다.

'-채'가 접미사로 쓰일 때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구분된 건물 단위'의 뜻(바깥채/사랑채/행랑채)을 나타내는 경우다. 이렇듯 '-째'와 '-채'의 쓰임을 정확히 알아둔다면 '통째로'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말들을 바르게 쓸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3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0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98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6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4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2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700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57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12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74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87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84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112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0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74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98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2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24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3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118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97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67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40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10033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