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14

통째/통채

조회 수 1171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째/통채


많은 사람이 '통째로'를 '통채로'로 잘못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는 발음상으로도 비슷하고, '-째'와 '-채'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인 듯싶다. '통째로'는 '통째+로'의 형태다. '통째'는 나누지 않은 덩어리의 전부를 뜻하는데, 주로 '통째로' 꼴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통짜'가 있다. 그러므로 표기가 혼란스러울 때는 '통짜'를 생각하면 'ㅊ'이 아니라 'ㅉ'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뱀이 개구리를 통째로 삼켰다. /초기 수레바퀴는 살 없이 통짜로 돼 있었다).

'통째'에서 '째'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뿌리째/껍질째)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또한 수량·기간을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와 수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사흘째/두 잔째/셋째)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인다. 반면 '채'는 의존명사로 '-은/는 채로' 형태로 쓰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라는 뜻(옷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을 나타내거나 집, 큰 기구, 기물, 가구, 이불, 가공하지 않은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오막살이 한 채/가마 두 채/장롱 한 채/솜이불 한 채/인삼 한 채)등으로 쓰인다.

'-채'가 접미사로 쓰일 때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구분된 건물 단위'의 뜻(바깥채/사랑채/행랑채)을 나타내는 경우다. 이렇듯 '-째'와 '-채'의 쓰임을 정확히 알아둔다면 '통째로'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말들을 바르게 쓸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38
1456 -씩 바람의종 2010.01.23 9290
1455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0
1454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05
1453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07
1452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13
1451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13
1450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3
1449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15
1448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17
1447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17
1446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18
1445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19
1444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24
1443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24
1442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25
1441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28
1440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30
1439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32
1438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33
1437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34
1436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39
1435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