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14

통째/통채

조회 수 1170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째/통채


많은 사람이 '통째로'를 '통채로'로 잘못 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이는 발음상으로도 비슷하고, '-째'와 '-채'를 정확히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인 듯싶다. '통째로'는 '통째+로'의 형태다. '통째'는 나누지 않은 덩어리의 전부를 뜻하는데, 주로 '통째로' 꼴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통짜'가 있다. 그러므로 표기가 혼란스러울 때는 '통짜'를 생각하면 'ㅊ'이 아니라 'ㅉ'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뱀이 개구리를 통째로 삼켰다. /초기 수레바퀴는 살 없이 통짜로 돼 있었다).

'통째'에서 '째'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뿌리째/껍질째)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또한 수량·기간을 나타내는 명사나 명사구와 수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사흘째/두 잔째/셋째)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인다. 반면 '채'는 의존명사로 '-은/는 채로' 형태로 쓰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라는 뜻(옷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을 나타내거나 집, 큰 기구, 기물, 가구, 이불, 가공하지 않은 인삼을 묶어 세는 단위(오막살이 한 채/가마 두 채/장롱 한 채/솜이불 한 채/인삼 한 채)등으로 쓰인다.

'-채'가 접미사로 쓰일 때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구분된 건물 단위'의 뜻(바깥채/사랑채/행랑채)을 나타내는 경우다. 이렇듯 '-째'와 '-채'의 쓰임을 정확히 알아둔다면 '통째로'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말들을 바르게 쓸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87
145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83
1455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48
1454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35
1453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0914
1452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561
1451 바람의종 2007.03.31 8388
1450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32
1449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09
1448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344
1447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092
1446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657
1445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64
1444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037
1443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7
1442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69
1441 줄잡아 바람의종 2007.03.26 11136
1440 조카 바람의종 2007.03.26 11119
1439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678
1438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609
143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39
1436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051
1435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