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04

파랗다와 푸르다

조회 수 856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랗다와 푸르다

  ‘파랗다’와 ‘푸르다’가 헷갈린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1924년에 나온 윤극영의 노래 <반달>이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하고 나간다. 이때 벌써 하늘을 ‘푸르다’고 했다는 소리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도 ‘파랗다’를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새싹과 같이 밝고 선명하게 푸르다.” 이렇게 곧장 ‘푸르다’ 그것이라고 풀이해 놓고 있다. 또 ‘푸르다’를 찾으면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이렇게 ‘파랗다’를 풀이한 소리를 거의 그대로 되풀이해 놓았다. 그러나 ‘파랗다’는 “맑은 가을 하늘”까지만 맞다. 바다도 “깊은 바다”는 아니고 얕은 바다라야 그냥 ‘파랗다’ 할 수 있다. 깊은 바다라면 ‘새파랗다’ 아니면 ‘시퍼렇다’ 해야 한다. ‘푸르다’는 “풀의 빛깔과 같이”까지만 맞다. 그래서 ‘파랗다’의 풀이에 “새싹과 같이”는 ‘푸르다’ 쪽으로 옮겨야 하고, 마찬가지로 ‘푸르다’의 풀이에 쓰인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는 ‘파랗다’ 쪽에서만 써야 마땅한 것이다.

  알다시피 길거리 신호등은 세상 어디서나 빛깔의 세 으뜸인 빨강(빨갛다), 파랑(파랗다), 노랑(노랗다)으로 나타낸다. 그런데 우리는 언제부턴가 ‘파란 신호등’을 ‘푸른 신호등’으로 바꾸었다. ‘파랗다’와 ‘푸르다’의 헷갈림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풀빛은 ‘푸르다’로, 하늘빛은 ‘파랗다’로 바로잡도록 국어교육에서 제대로 가르쳐야 하지 않겠는가?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52
2006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28
2005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75
20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518
2003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33
200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38
200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01
2000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18
199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35
19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53
199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0
1996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35
1995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64
1994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75
1993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64
1992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1
1991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4
1990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31
1989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57
1988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1
1987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16
1986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95
1985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