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04

파랗다와 푸르다

조회 수 847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랗다와 푸르다

  ‘파랗다’와 ‘푸르다’가 헷갈린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1924년에 나온 윤극영의 노래 <반달>이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하고 나간다. 이때 벌써 하늘을 ‘푸르다’고 했다는 소리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도 ‘파랗다’를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새싹과 같이 밝고 선명하게 푸르다.” 이렇게 곧장 ‘푸르다’ 그것이라고 풀이해 놓고 있다. 또 ‘푸르다’를 찾으면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밝고 선명하다.” 이렇게 ‘파랗다’를 풀이한 소리를 거의 그대로 되풀이해 놓았다. 그러나 ‘파랗다’는 “맑은 가을 하늘”까지만 맞다. 바다도 “깊은 바다”는 아니고 얕은 바다라야 그냥 ‘파랗다’ 할 수 있다. 깊은 바다라면 ‘새파랗다’ 아니면 ‘시퍼렇다’ 해야 한다. ‘푸르다’는 “풀의 빛깔과 같이”까지만 맞다. 그래서 ‘파랗다’의 풀이에 “새싹과 같이”는 ‘푸르다’ 쪽으로 옮겨야 하고, 마찬가지로 ‘푸르다’의 풀이에 쓰인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는 ‘파랗다’ 쪽에서만 써야 마땅한 것이다.

  알다시피 길거리 신호등은 세상 어디서나 빛깔의 세 으뜸인 빨강(빨갛다), 파랑(파랗다), 노랑(노랗다)으로 나타낸다. 그런데 우리는 언제부턴가 ‘파란 신호등’을 ‘푸른 신호등’으로 바꾸었다. ‘파랗다’와 ‘푸르다’의 헷갈림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풀빛은 ‘푸르다’로, 하늘빛은 ‘파랗다’로 바로잡도록 국어교육에서 제대로 가르쳐야 하지 않겠는가?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677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836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8/09/23 by 바람의종
    Views 8690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5.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9173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6.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6831 

    갈께/갈까

  7.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7785 

    양동작전

  8.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8/09/19 by 바람의종
    Views 16925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9.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8/09/19 by 바람의종
    Views 7818 

    냉면 사리

  10.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8/09/19 by 바람의종
    Views 9725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11.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11712 

    작렬, 작열

  12.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11340 

    비치다, 비추다

  13.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8683 

    '첫'과 '처음'

  14.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8477 

    봉숭아, 복숭아

  15.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7502 

    주인공과 장본인

  16.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6288 

    음반이요?

  17. No Image 09Sep
    by 바람의종
    2008/09/09 by 바람의종
    Views 10270 

    들이키다, 들이켜다

  18. No Image 09Sep
    by 바람의종
    2008/09/09 by 바람의종
    Views 8114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19.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8/09/07 by 바람의종
    Views 5650 

    반딧불이

  20.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8/09/07 by 바람의종
    Views 6604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21.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8521 

    옥새와 옥쇄

  22.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9051 

    첫째, 첫 번째

  23.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8555 

    총각김치

  24.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8169 

    반지락, 아나고

  25. No Image 03Sep
    by 바람의종
    2008/09/03 by 바람의종
    Views 11648 

    통째/통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