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00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도 표준어

녹음이 한창이다. 길을 걷다 보면 돌담이나 바위, 건물 외벽, 도로변의 방음벽을 타고 오르는 아름다운 식물이 눈에 띈다. '덩굴' 식물이다. 포도·칡·머루·수박처럼 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땅 위를 기거나 다른 물체에 붙어 자라는 식물의 줄기를 '덩굴'이라고 한다.

'넝쿨은 다른 것인가.'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혹자는 '덩쿨'이 맞다고 우기기도 한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법적 생각에 사로잡히다 보면 언어생활에서도 잘못을 범할 수 있다.

'덩굴'과 '넝쿨' 둘 다 맞는 표현이다. '쇠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쇠고기의 '쇠'는 '소의~'의 준말로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 쇠기름·쇠가죽·쇠머리·쇠꼬리 등만 맞는 것으로 잘못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문 표준어규정(1988년 1월)은 소기름·소가죽·소머리·소꼬리 등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소도둑·소장수·소달구지 등은 소의 부산물이 아니므로 '소의∼'의 축약 형태가 붙은 쇠도둑·쇠장수·쇠달구지 등으로 쓰면 안된다.

이와 같이 우리말엔 복수표준어로 인정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의외로 많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는 날씨인 '가물/가뭄', 아이들이 예쁜 새 옷을 말할 때 쓰는 '고까/꼬까/때때', 헝겊·종이 따위의 작은 조각인 '나부랭이/너부렁이'….

형태는 다르지만 발음도 비슷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빈도에 있어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복수표준어로 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33
1478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88
1477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34
1476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79
1475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70
1474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63
147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472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1471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7
1470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2
146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77
1468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467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77
1466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24
146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3
1464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09
146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1
1462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40
1461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43
146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45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633
145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15
145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