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46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도 표준어

녹음이 한창이다. 길을 걷다 보면 돌담이나 바위, 건물 외벽, 도로변의 방음벽을 타고 오르는 아름다운 식물이 눈에 띈다. '덩굴' 식물이다. 포도·칡·머루·수박처럼 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땅 위를 기거나 다른 물체에 붙어 자라는 식물의 줄기를 '덩굴'이라고 한다.

'넝쿨은 다른 것인가.'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혹자는 '덩쿨'이 맞다고 우기기도 한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법적 생각에 사로잡히다 보면 언어생활에서도 잘못을 범할 수 있다.

'덩굴'과 '넝쿨' 둘 다 맞는 표현이다. '쇠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쇠고기의 '쇠'는 '소의~'의 준말로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 쇠기름·쇠가죽·쇠머리·쇠꼬리 등만 맞는 것으로 잘못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문 표준어규정(1988년 1월)은 소기름·소가죽·소머리·소꼬리 등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소도둑·소장수·소달구지 등은 소의 부산물이 아니므로 '소의∼'의 축약 형태가 붙은 쇠도둑·쇠장수·쇠달구지 등으로 쓰면 안된다.

이와 같이 우리말엔 복수표준어로 인정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의외로 많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는 날씨인 '가물/가뭄', 아이들이 예쁜 새 옷을 말할 때 쓰는 '고까/꼬까/때때', 헝겊·종이 따위의 작은 조각인 '나부랭이/너부렁이'….

형태는 다르지만 발음도 비슷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빈도에 있어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복수표준어로 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30
1478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203
1477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317
1476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56
1475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11
147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96
1473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93
1472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38
1471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36
1470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55
1469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76
1468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55
1467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117
1466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264
1465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742
1464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957
1463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762
1462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979
1461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095
1460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526
1459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372
1458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87
145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