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612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도 표준어

녹음이 한창이다. 길을 걷다 보면 돌담이나 바위, 건물 외벽, 도로변의 방음벽을 타고 오르는 아름다운 식물이 눈에 띈다. '덩굴' 식물이다. 포도·칡·머루·수박처럼 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땅 위를 기거나 다른 물체에 붙어 자라는 식물의 줄기를 '덩굴'이라고 한다.

'넝쿨은 다른 것인가.' 고개를 갸웃하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혹자는 '덩쿨'이 맞다고 우기기도 한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법적 생각에 사로잡히다 보면 언어생활에서도 잘못을 범할 수 있다.

'덩굴'과 '넝쿨' 둘 다 맞는 표현이다. '쇠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쇠고기의 '쇠'는 '소의~'의 준말로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니 쇠기름·쇠가죽·쇠머리·쇠꼬리 등만 맞는 것으로 잘못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문 표준어규정(1988년 1월)은 소기름·소가죽·소머리·소꼬리 등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소도둑·소장수·소달구지 등은 소의 부산물이 아니므로 '소의∼'의 축약 형태가 붙은 쇠도둑·쇠장수·쇠달구지 등으로 쓰면 안된다.

이와 같이 우리말엔 복수표준어로 인정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의외로 많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는 날씨인 '가물/가뭄', 아이들이 예쁜 새 옷을 말할 때 쓰는 '고까/꼬까/때때', 헝겊·종이 따위의 작은 조각인 '나부랭이/너부렁이'….

형태는 다르지만 발음도 비슷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빈도에 있어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복수표준어로 삼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54
1742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6
1741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59
1740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61
1739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63
1738 사동사 바람의종 2010.01.28 8671
1737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79
1736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80
1735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1
1734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81
1733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81
1732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682
1731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85
1730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88
1729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0
172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93
1727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94
1726 대단원의 막을 내리다. 바람의종 2009.02.18 8696
1725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97
1724 무데뽀 바람의종 2008.02.12 8709
1723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1722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714
1721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7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