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8 15:34

곤혹스런

조회 수 5240 추천 수 3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곤혹스런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일상생활도 속도 경쟁에 빠져든 듯하다. 그래서인지 인터넷 채팅 언어나 문자 메시지 등에선 단어를 줄이는 게 유행이 돼 버렸다. 하지만 줄여선 안 될 것까지 줄여 절름발이 단어가 되고 만 것이 '곤혹스런'이다. 이 말의 기본형은 '곤혹스럽다'이며,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뒤따라 올 때 어간의 'ㅂ'이 '우'로 바뀌는 'ㅂ'불규칙 용언이다. '곤혹스러워서, 곤혹스러우니, 곤혹스러운, 곤혹스러우므로'로 활용된다.

그런데 '곤혹스러운'을 자꾸만 '곤혹스런'으로 쓴다. '곤혹스런'은 '곤혹스러운'에서 '우'를 생략한 것으로, 이는 틀린 표현이다. '곤혹스러서' '곤혹스러니' '곤혹스러므로' 등이 말이 안 된다는 점에서도 이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ㅂ불규칙 용언인 '아름답다' '싱겁다' '고맙다' '덥다' 등도 '아름다운' '싱거운' '고마운' '더운'을 '아름단' '싱건' '고만' '던'으로 쓰지 않는다. 바꿔 말해 '-스럽다'로 끝나는 단어의 활용형 '-러운'을 '-런'으로 줄여 쓰면 맞춤법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군고구마' '군밤'은 '굽다'의 활용형 '구운'에서 '우'가 생략됐으므로 틀린 게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의 단어로 이미 굳어진 경우다.

외국어를 사용해 글을 쓸 때 사전을 찾아가며 정확히 표현하려고 애쓰는 것처럼 우리글도 맞춤법에 맞게 쓰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최성우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5
1984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78
1983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52
1982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33
1981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1980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979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505
197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76
1977 과반수 이상 바람의종 2008.08.27 6240
1976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26
1975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7
1974 푸르른 바람의종 2008.08.11 6289
1973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92
1972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15
197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091
1970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983
1969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884
»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40
1967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1
1966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85
1965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95
1964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56
1963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9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