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6 14:32

김치 속 / 김치 소

조회 수 8171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속(?)

최근 중국에서 김치가 사스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한국 음식점을 찾는 사람이 부쩍 늘었을 뿐 아니라 백화점 등에서 김치를 사재기하는 사람도 있다는 것이다. 김치 속에는 마늘·고추·생강·파 등 많은 재료가 들어간다. 이같이 맛을 내기 위해 김치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를 무엇이라 할까. '김치 속'이 아니라 '김치 소'가 맞다.

통김치나 오이소박이 등의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고명)를 '소'라 한다. 순 우리말이다. 송편이나 만두 등을 만들 때 맛을 내기 위해 익히기 전에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도 마찬가지다. 송편 속에 들어가는 팥·콩·대추·밤 등은 '송편 소'이고, 만두 속에 들어가는 고기·두부·야채 등은 '만두 소'다.

중국과 홍콩 등 동남아 지역과의 교류가 많은 한국에서 사스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은 까닭이 김치에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마늘이 항균·항암 작용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생강은 우리 민간요법으로 감기에 걸렸을 때 달여 마시던 것이다. 마늘·고추·생강·파 등 '김치 소'가 배추와 버무려져 발효하면서 상승작용을 일으켜 면역력을 높여 주는 건 아닐까. 어쨌거나 우리의 전통식품인 김치가 해외에서 인기가 있다니 기분 좋은 일이고, 식생활 변화로 김치 소비가 줄었던 우리에게도 김치를 재평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68
1478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45
1477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46
147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247
1475 바람의종 2012.07.27 9247
1474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48
1473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9
1472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0
1471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54
1470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63
1469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4
146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267
1467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72
1466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73
1465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273
1464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75
1463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76
1462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78
146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78
1460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2
1459 -씩 바람의종 2010.01.23 9285
1458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85
1457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