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27

숟가락, 젓가락

조회 수 8417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숟가락, 젓가락

소설가 현기영은 그의 장편소설 『지상에 숟가락 하나』에서 '숟가락은 곧 밥이지요. 밥은 곧 삶이고요'라고 쓰고 있다. 밥이 주식인 우리네 식탁에서 숟가락은 젓가락과 짝을 이뤄 우리 삶의 영원한 '동반자'로 자리하고 있다. 이 두 짝은 표기에 있어서도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두 말 모두 '가락(가늘고 길게 토막이 난 물건을 세는 단위)'이 들어간다. 그런데 '젓가락'은 받침에 'ㅅ'을 쓰고 '숟가락'은 받침에 'ㄷ'을 쓴다. 발음도 비슷한데 왜 받침을 달리 쓰는지 궁금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젓가락'은 '저(젓가락ㆍ한자를 빌려 '箸'로 적기도 한다) '에 '가락'이 붙은 말인데, 이 두 말을 연결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갔다. [저+­ㅅ+가락]의 형태다. 빗자루ㆍ찻잔 등과 같은 모습이다. 반면 '숟가락'은 '밥 한 술'의 '술(밥 따위의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에 '가락'이 붙은 말인데 '술'의 'ㄹ'이 가락과 붙으면서 'ㄷ'으로 변했다(한글 맞춤법 제29항 참조).

[술+­ㅅ+가락]→숟가락의 형태다. 이런 예로는 '이틀→이튿날''사흘→사흗날''삼질→삼짇날''풀→푿소''설→섣달' 등이 있다.

우스갯소리로 숟가락은 움푹 파인 모습이 'ㄷ'처럼 보여 받침으로 'ㄷ'을 쓰고, 젓가락은 반찬을 집을 때나 벌릴 때의 모양이 'ㅅ'처럼 보여 'ㅅ'을 쓴다는 얘기가 있다. 그렇게 생각하면 기억하기 쉽겠다.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49
2380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4
237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72
2378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7
237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237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56
237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54
»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17
2373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39
2372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27
2371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02
2370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8
236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63
2368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5
236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01
2366 바람의종 2008.07.28 6347
2365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55
2364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1
236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04
2362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2361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30
2360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28
2359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