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27

숟가락, 젓가락

조회 수 8408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숟가락, 젓가락

소설가 현기영은 그의 장편소설 『지상에 숟가락 하나』에서 '숟가락은 곧 밥이지요. 밥은 곧 삶이고요'라고 쓰고 있다. 밥이 주식인 우리네 식탁에서 숟가락은 젓가락과 짝을 이뤄 우리 삶의 영원한 '동반자'로 자리하고 있다. 이 두 짝은 표기에 있어서도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두 말 모두 '가락(가늘고 길게 토막이 난 물건을 세는 단위)'이 들어간다. 그런데 '젓가락'은 받침에 'ㅅ'을 쓰고 '숟가락'은 받침에 'ㄷ'을 쓴다. 발음도 비슷한데 왜 받침을 달리 쓰는지 궁금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젓가락'은 '저(젓가락ㆍ한자를 빌려 '箸'로 적기도 한다) '에 '가락'이 붙은 말인데, 이 두 말을 연결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갔다. [저+­ㅅ+가락]의 형태다. 빗자루ㆍ찻잔 등과 같은 모습이다. 반면 '숟가락'은 '밥 한 술'의 '술(밥 따위의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에 '가락'이 붙은 말인데 '술'의 'ㄹ'이 가락과 붙으면서 'ㄷ'으로 변했다(한글 맞춤법 제29항 참조).

[술+­ㅅ+가락]→숟가락의 형태다. 이런 예로는 '이틀→이튿날''사흘→사흗날''삼질→삼짇날''풀→푿소''설→섣달' 등이 있다.

우스갯소리로 숟가락은 움푹 파인 모습이 'ㄷ'처럼 보여 받침으로 'ㄷ'을 쓰고, 젓가락은 반찬을 집을 때나 벌릴 때의 모양이 'ㅅ'처럼 보여 'ㅅ'을 쓴다는 얘기가 있다. 그렇게 생각하면 기억하기 쉽겠다.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94
1984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1059
198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274
1982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30
1981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90
198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67
1979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17
1978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98
1977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425
1976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8017
1975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876
1974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664
1973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89
1972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52
1971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97
1970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049
1969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295
1968 근사하다 바람의종 2007.05.02 11353
1967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510
1966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95
1965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84
1964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58
1963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