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8 11:17

바라다 / 바래다

조회 수 9143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라다 / 바래다

여러분은 '바라다'와 '바래다'의 뜻 차이를 아시나요? 이 단어들은 잘못 쓰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틀리게 쓴 것이 어색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쓰임을 한번 살펴보죠.

'요즘은 입대할 때 개별적으로 훈련소로 가지만 예전에는 모여서 입영열차를 타고 가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친구들이 으레 집결지까지 바래다 주었지요. 훈련소에서 흙 묻고 빛 바랜 훈련복을 입고 뒹굴다 보면 먼저 들어온 사람들이 훈련을 끝내고 새 군복에 이등병 계급장을 달고 퇴소 준비를 합니다. 그때 훈련병들이 바라는 것은 단 한 가지입니다. 어서 훈련이 끝나 그들처럼 빛나는 이등병 계급장을 다는 것이지요. '

'바래다'의 뜻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는 것입니다. 군대 가는 친구를 바래다 주는 것이 한 예가 되겠지요. 둘째 뜻은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흐릿하게 변하는 것입니다. '빛 바랜 훈련복'이 그런 용례입니다.

'바라다'는 생각하는 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뤄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위 글에서는 훈련병들이 빨리 이등병 계급장을 달고 퇴소하기를 바라지요. 이제 '그것은 우리의 바램이었어.' '시험 잘 보길 바래.' '그러기를 바랬다.'에서 짙은 부분을 바람, 바라, 바랐다로 고쳐 써야 한다는 걸 아셨겠지요? 그렇다면 저의 바람은 충족된 셈입니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6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643
1984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72
19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2
1982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86
1981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2
198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70
197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22
197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26
1977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197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98
1975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76
1974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4
1973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91
197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26
1971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58
1970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83
1969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7
196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736
1967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3
1966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87
196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9
196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84
1963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