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0 04:00

야반도주, 동병상련

조회 수 8251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자성어 (3)

좋았던 시절 귤은 몇 그루만 있으면 자식 대학 공부를 시킬 수 있다 하여 '대학 나무'로 불렸다. 하지만 이젠 수입 과일에 밀려 가격이 폭락하면서 출하를 포기하고 나무까지 베어내는 일이 흔해졌다. 형편이 어려운 것은 귤 재배 농가만이 아니다. 우리의 농어촌이 거의 비슷하다. 벼농사를 짓는 사람이나 낙농업자, 양식업자 가릴 것 없이 일손 부족과 과중한 빚에 허덕이고 있다. 통계로는 지난해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농가빚이 감소했다고 한다. 하지만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1960년대도 아닌데 밤중에 보따리를 싸서 남 몰래 고향을 뜨는 사람들의 사연이 여전히 전파를 타고 있다. 그것이 남의 얘기 같지 않은 농어촌 사람도 많을 것이다.

밤을 틈타 몰래 도망하는 것을 한자어로 '야반도주'라고 한다. 흔히 '야밤도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야반도주(夜半逃走)가 맞는 말이다. 야반(夜半)이란 밤을 반으로 자른 한가운데, 즉 한밤중을 의미한다. 위 이야기에 나오는 사람들처럼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가엾게 여기는 것을 동병상련(同病相憐)이라고 한다. 동병상린이라고 잘못 쓰는 사람이 많지만 이 말은 같은 병을 앓는 사람들이 서로 불쌍하게 여긴다는 뜻이므로 동병상련이 바르다. 동병상린이라고 잘못 쓰는 것은 '불쌍히 여길 련(憐)'을 '이웃 린(隣)'으로 착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권인섭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00
1962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496
1961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29
»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1
1959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07
1958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237
1957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1956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019
1955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755
1954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53
1953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762
1952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52
1951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53
195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5945
194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485
194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796
1947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13
1946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07
1945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04
1944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83
1943 너머/넘어 바람의종 2008.06.15 6474
1942 개인 날 / 갠날, (-이-)의 표기오류 바람의종 2008.06.14 6880
1941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