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 이면수/임연수

by 바람의종 posted Jul 06,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명태와 이면수

날씨가 더워지면 생맥주 집에 손님이 늘어납니다. 그곳에서 안주로 땅콩과 함께 인기 있는 것이 노가리지요. 그런데 노가리가 어떤 물고기인지 아세요? 명태 새끼랍니다. 노가리는 속된 말로 거짓말을 뜻하기도 하지요. 명태라는 이름이 생긴 사연이 재미있습니다.

옛날 함경도 명천에 '태'씨 어부가 살았는데 그가 맛이 담백한 어떤 물고기를 잘 잡았답니다. 그 후 사람들은 명천 땅 태씨 어부가 잘 잡았다 하여 명천의 '명'과 어부의 성을 따 이 물고기를 명태라고 불렀답니다.

명태는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선한 것은 생태, 얼린 것은 동태, 그냥 딱딱하게 말린 것은 북어, 추운 곳에서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며 말려 살이 포슬포슬하고 노랗게 된 것은 황태라고 합니다.

어부의 성명과 관계 있는 물고기가 또 있는데요. '이면수'라고 들어보셨지요? 등쪽은 암갈색이고 배쪽은 황백색이며 몇 줄의 검은 세로띠가 있는 물고기입니다. 흔히 이면수라고 쓰지만 그것은 틀린 것이고 '임연수어'가 표준어입니다. 조선 정조 때 서유구가 지은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는 임연수(林延壽)라는 사람이 이 고기를 잘 낚았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 임연수어라고 한다고 돼 있습니다.

요즘 경기도 안 좋고 힘든 시기인데요. 기운이 없을 땐 시장에 가면 힘이 난다는 분들도 있더군요. 주말에 재래시장에 들러 어물전을 둘러보며 삶의 치열함을 느껴보는 것도 괜찮겠네요. 김형식 기자

kimsi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