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4 06:29

저희 나라

조회 수 8872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희 나라

방송 등에서 가끔씩 '저희 나라'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이 바른 표현일까? '저희'란 말은 두 가지로 쓰인다.

첫째는 '우리'의 낮춤말로서 이때 듣는 사람(청자)은 '저희'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생님, 저희 먼저 가겠습니다' 라고 할 때 청자인 '선생님'은 '저희'에 포함되지 않는다.
둘째는 앞에서 언급한 사람들을 다시 가리킬 때 쓴다. '한국과 경기해서 진 이탈리아팀에서 우리가 심판을 매수했다고 한다. 이것은 저희가 형편없는 경기를 해서 진 것을 변명하는 것에 불과하다'와 같은 경우다. 여기서 '저희'는 앞서의 '이탈리아팀'을 가리킨다.

'우리'라는 말은 청자를 포함할 때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때도 있다. '여보, 우리 영화 보러 갈까?' 같은 경우는 청자가 포함된다. 그러나 '김대리, 우리 먼저 갈게. 미안해'와 같은 경우 청자인 김대리는 '우리'에 포함되지 않는다.

만약 철수가 방송에서 시청자들에게 '저희 나라'라고 말한다면 '저희'는 청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한국은 철수가 속한 집단만의 나라이고 듣고 있는 시청자는 한국 국민에서 제외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외국사람에게 얘기할 땐 '저희 나라'로 써도 괜찮겠네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자기 나라를 지칭하면서 일부러 낮춰서 말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저희 나라'는 '우리 나라'로 고쳐 쓰는 것이 적절하다.

김형식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687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332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8274
    read more
  4.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Date2020.06.17 By風文 Views1764
    Read More
  5. 전철을 밟는다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9898
    Read More
  6. 전철련

    Date2010.03.15 By바람의종 Views8550
    Read More
  7. 전운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7496
    Read More
  8. 전송과 배웅

    Date2010.12.19 By바람의종 Views13269
    Read More
  9. 전세값, 삭월세

    Date2008.11.11 By바람의종 Views6325
    Read More
  1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Date2020.06.16 By風文 Views1702
    Read More
  11. 전농동과 설렁탕

    Date2008.03.15 By바람의종 Views8914
    Read More
  12. 전년도, 회계연도

    Date2012.10.08 By바람의종 Views12439
    Read More
  13. 전광석화

    Date2007.12.18 By바람의종 Views6491
    Read More
  14. 적자

    Date2007.08.16 By바람의종 Views13308
    Read More
  15. 적이

    Date2007.03.23 By바람의종 Views7414
    Read More
  1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Date2022.07.31 By風文 Views1461
    Read More
  17. 저희 나라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8872
    Read More
  18. 저지

    Date2010.04.18 By바람의종 Views12251
    Read More
  19. 저어새

    Date2009.09.24 By바람의종 Views8316
    Read More
  20. 저린다

    Date2010.10.30 By바람의종 Views8804
    Read More
  21. 저리다 / 절이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436
    Read More
  22.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22296
    Read More
  23. 저 같은 경우는?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6190
    Read More
  24. 쟈근아기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7030
    Read More
  25. 쟈고미

    Date2009.08.27 By바람의종 Views690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