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4 06:29

저희 나라

조회 수 886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희 나라

방송 등에서 가끔씩 '저희 나라'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이 바른 표현일까? '저희'란 말은 두 가지로 쓰인다.

첫째는 '우리'의 낮춤말로서 이때 듣는 사람(청자)은 '저희'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생님, 저희 먼저 가겠습니다' 라고 할 때 청자인 '선생님'은 '저희'에 포함되지 않는다.
둘째는 앞에서 언급한 사람들을 다시 가리킬 때 쓴다. '한국과 경기해서 진 이탈리아팀에서 우리가 심판을 매수했다고 한다. 이것은 저희가 형편없는 경기를 해서 진 것을 변명하는 것에 불과하다'와 같은 경우다. 여기서 '저희'는 앞서의 '이탈리아팀'을 가리킨다.

'우리'라는 말은 청자를 포함할 때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때도 있다. '여보, 우리 영화 보러 갈까?' 같은 경우는 청자가 포함된다. 그러나 '김대리, 우리 먼저 갈게. 미안해'와 같은 경우 청자인 김대리는 '우리'에 포함되지 않는다.

만약 철수가 방송에서 시청자들에게 '저희 나라'라고 말한다면 '저희'는 청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한국은 철수가 속한 집단만의 나라이고 듣고 있는 시청자는 한국 국민에서 제외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외국사람에게 얘기할 땐 '저희 나라'로 써도 괜찮겠네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자기 나라를 지칭하면서 일부러 낮춰서 말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저희 나라'는 '우리 나라'로 고쳐 쓰는 것이 적절하다.

김형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933
2798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33
2797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86
2796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2795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94
2794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67
2793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09
279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91
2791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903
2790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430
2789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90
278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93
278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97
278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33
»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9
2784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47
2783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16
2782 저린다 바람의종 2010.10.30 8800
2781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71
2780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80
2779 저 같은 경우는? 바람의종 2008.03.19 6190
2778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18
277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9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