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884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전국시대 초(楚)나라 회왕(懷王) 때의 얘기다. 어느 인색한 사람이 제사를 지낸 뒤 하인들에게 겨우 술 한 잔을 내놓으며 나누어 마시라고 했다. 하인들은 땅바닥에 뱀을 제일 먼저 그리는 사람이 이 술을 마시기로 했다. 이윽고 한 하인이 술잔을 집어들고 말했다. '이 술은 내가 마셔야겠네. 어떤가. 멋진 뱀이지. 발도 있고.' 그때 막 뱀을 그린 다른 하인이 술잔을 빼앗아 단숨에 마셔버렸다. '세상에 발 달린 뱀이 어디 있나?' 술잔을 빼앗긴 하인은 공연히 쓸데없는 짓을 했다고 후회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이때부터 쓸데없는 짓(것)을 가리켜 화사첨족(畵蛇添足) 또는 사족(蛇足)이라 부르게 됐다.

우리가 쓰는 문장에도 이러한 사족이 너무 많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여부(與否)'다. 불필요한 '여부'의 사용에 대해 유형별로 3회에 걸쳐 살펴보자. 우선 의문·추측을 나타내는 어미가 붙은 '~인지''~는지''~할지' 다음에 오는 '여부'는 필요가 없다.

*안정을 해칠 것인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보안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높은 득표율로 당선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됐다.

위 문장의 '여부'는 모두 사족이므로 다음과 같이 고쳐 쓰는 게 좋다.

*~해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해당하는지를 조사하기로 했다.
*~당선할지에 관심이 집중됐다.

배상복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9
1016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41
1015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69
1014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8
1013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33
1012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22
101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37
101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05
1009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98
1008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00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70
1006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72
100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35
100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98
»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84
100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59
100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07
1000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7
999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60
99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76
997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23
996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5
995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