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9

'난'과 '란'

조회 수 8618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과 '란'

신문이나 잡지에서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싣기 위해 마련한 자리를 '난(欄)'이라고 한다. 사회가 다양해지면서, 변화하는 독자의 욕구에 따르기 위해 신문 지면에도 새로운 난들이 점점 늘고 있다. '독자투고란' '인사란' '취업란' '부고란','사람난' '알림난','오피니언난''레저난' 등 문패도 각양각색이다.

그런데 문패들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같은 '欄'자를 쓰는데도 어느 것은 '난'으로 쓰고, 어느 것은 '란'으로 쓰니 말이다. 한자어 '欄'은 앞 말에 따라 '난'이 되기도 하고 '란'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는 규칙이 있다.

'欄'이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두음법칙이 적용돼 '난'으로 표기한다. 독자의 소리를 싣는 난. 빈 난을 채우시오. 새로운 난을 마련하다.

그러나 다른 말과 결합해 쓰일 때는 앞 말이 한자어이면 '란'으로 쓴다. 공란(空欄) 고정란(固定欄) 앞 말이 고유어나 외래어일 때는 '난'으로 쓴다. 어린이난 가십난(gossip난)

간단히 정리하면 한자어와 결합할 때만 '란'을 쓰고 나머지 경우엔 '난'을 쓰는 것이다. 문패는 그 집의 얼굴이다. 귀한 손님들이 얼굴을 찡그리지 않고 자신의 집을 찾아올 수 있도록 문패를 바르게 달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07
1654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92
1653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2
1652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9
1651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88
1650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1649 점심 바람의종 2010.08.17 8587
16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87
1647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85
1646 사리 風磬 2006.12.26 8578
1645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78
1644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74
1643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73
1642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72
164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66
1640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564
1639 누비다 風磬 2006.11.01 8563
1638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563
163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60
1636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55
1635 넋두리 風磬 2006.10.30 8555
1634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49
1633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